경혈이야기/족궐음간경(14)
-
족궐음간경 - 행간(LR_2)
https://alternative-medicine.tistory.com/ 블로그에 모든 포스팅은 저작권이 있습니다. 사전에 허락없이 불법으로 도용하거나 복사해서 가시는 행위는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. 간기를 편안하게 다스려서 생리를 조절하고 혈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이 있다. [경혈 뜻] 행간의 행은 통한다는 뜻이며 통로를 뜻한다.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의 사이로 지나는 곳에 있으므로 행간이라 한다. [위치] 제 1,2 지골 사이 적백육제에 위치한다. [취혈] 첫째와 둘째발가락 사이 적백육제에 취혈한다. [조작] 직자 0.2~0.4촌 뜸을 뜰 수 있다. [적응증] 월경불순, 폐경, 두통, 불면, 심계항진(두근거림), 소아경풍, 전간(간질), 녹내장 등
2020.10.01 -
족궐음간경 - 태돈(LR_1)
https://alternative-medicine.tistory.com/ 블로그에 모든 포스팅은 저작권이 있습니다. 사전에 허락없이 불법으로 도용하거나 복사해서 가시는 행위는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. 경맥을 소통하고 공규를 여는 효능이 있다. [경혈 뜻] 태돈의 돈은 두터운 것을 말한다. 엄지 발가락 끝의 살이 두껍고 크기에 태돈이라 한다. 수천, 대순으로 부르기도 한다. [위치] 무지외측 조갑근각 옆에 위치한다. [취혈] 첫째발가락 바깥쪽 조갑근각 옆 0.1촌에서 취혈한다. [조작] 직자 0.1촌 뜸을 뜰 수 있다. [적응증] 쇼크, 경련발작시 진정효과, 옆구리, 하복부 대퇴내측 통증, 발기부전, 생식기질환 등
2020.10.0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