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(403)
-
수양명대장경 - 천정(LI_17)
https://alternative-medicine.tistory.com/ 블로그에 모든 포스팅은 저작권이 있습니다. 사전에 허락없이 불법으로 도용하거나 복사해서 가시는 행위는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. 열을 식히고 부은 것을 가라앉히며 가래를 삭이는 효능이 있다. [경혈뜻] 천정의 정은 솥을 가리킨다. 예전에 사용하던 솥은 두 귀가 달리고 다리가 셋이다. 공 모양의 머리가 위에 있는 두껑을 하늘, 천에 비유하였는데 사람도 양쪽에 귀가 있고 이 혈의 앞에 1개씩 있는 근돌기와 제 7경추돌기의 대추혈의 위치가 원형으로 세개의 다리가 붙은 솥과 비슷한 모습이기에 천정이라 한다. [위치] 부돌혈과 결분혈 중간 흉쇄유돌근 외측연에 위치한다. [취혈] 부돌과 결분 연결선의 중점으로 흉쇄유돌..
2020.09.05 -
수양명대장경 - 거골(LI_16)
https://alternative-medicine.tistory.com/ 블로그에 모든 포스팅은 저작권이 있습니다. 사전에 허락없이 불법으로 도용하거나 복사해서 가시는 행위는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. 대장경과 양교맥이 만나는 혈로써 담을 없애고 놀란 것을 진정시키며 관절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. [경혈뜻] 거골은 쇄골을 뜻한다. 견단에 있고, 짐을 멜 때 이 뼈에 큰 힘이 걸리기 때문에 거골이라 한다. [위치] 견쇄관절과 견갑극 사이에 위치한다. [취혈] 견쇄관절과 견갑극 사이에 오목한 곳에 취혈한다. [조작] 직자 0.3~0.5촌 뜸을 뜰 수 있다. [적응증] 견갑통, 견관절통, 상완신경통, 두드러기, 토혈 등
2020.09.05 -
수양명대장경 - 견우(LI_15)
https://alternative-medicine.tistory.com/ 블로그에 모든 포스팅은 저작권이 있습니다. 사전에 허락없이 불법으로 도용하거나 복사해서 가시는 행위는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. 대장경과 양교맥이 만나는 혈로써 담을 제거하고 근육의 긴장을 풀어 관절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. [경혈뜻] 견우의 우는 견갑골이라는 뜻과 뼈 사이의 틈새를 가르킨다. 이 혈은 견갑골견봉부 즉 팔을 들어올렸을 때 어깨 끝부분의 두 뼈 사이로 움푹 들어간 곳에 있으며 견괄절에 일어나는 모든 질환을 치료하므로 견우라고 한다. [위치] 견봉 하단 삼각근견봉부에 위치한다. [취혈] 견봉외단 전방하연, 팔을 수평으로 들어올렸을 때 어깨 위에 나타나는 두 개의 오목한 지점 중 앞쪽 오목한..
2020.09.05 -
수양명대장경 - 비노(LI_14)
https://alternative-medicine.tistory.com/ 블로그에 모든 포스팅은 저작권이 있습니다. 사전에 허락없이 불법으로 도용하거나 복사해서 가시는 행위는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. 대장경 소장경 방광경 양유맥이 만나는 자리이며 경락을 소통시켜 풍사를 흩뜨리는 효능이 있다. [경혈뜻] 비노의 비는 위팔의 안쪽을 말한다. 이 혈은 상완의 삼각근 전하연과 상완골이 만나는 곳에 있다. 또한 견우와 곡지를 잇는 선 위에 있기에 비노라고 한다. [위치] 상완의 위쪽, 삼각근이 끝나는 지점에 위치한다. [취혈] 곡지와 견우 연결선에서 곡지 위 7촌에 취혈한다. [조작] 직자 0.3~0.5촌 (예전에는 침을 놓지 않게 하였으나 일반적인 호침 사용은 가능하다.) 뜸을 뜰 수..
2020.09.05 -
수양명대장경 - 수오리(LI_13)
https://alternative-medicine.tistory.com/ 블로그에 모든 포스팅은 저작권이 있습니다. 사전에 허락없이 불법으로 도용하거나 복사해서 가시는 행위는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. 어혈을 흩어 풀어주는 효능이 있다. [경혈뜻] 수오리의 리는 촌이라는 뜻이 있었다. 이 혈은 상지에 있고, 수삼리에서 위로 5촌 떨어진 곳이기 때문에 수오리라고 한다. [위치] 상완의 아래 약 1/4로 상완삼두근외연에 위치한다. [취혈] 곡지와 견우의 연결선에서 곡지 위 3촌에 취한다. [조작] 직자 0.3~0.5촌 (예전에는 침을 놓지 않게 하였으나 일반적인 호침 사용은 가능하다.) 뜸을 뜰 수 있다. [적응증] 각혈, 림프결절, 주.상완경련, 폐렴 등
2020.09.05 -
수양명대장경 - 주료(LI_12)
https://alternative-medicine.tistory.com/ 블로그에 모든 포스팅은 저작권이 있습니다. 사전에 허락없이 불법으로 도용하거나 복사해서 가시는 행위는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.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 [경혈뜻] 주료의 주는 팔꿈치를 가르킨다. 료는 뼈의 돌기에 가깝게 있는 함요나 간극을 가리킨다. 이 혈은 상완골 요측 상과에 있기에 주료라고 한다. [위치] 상완 삼두근 하연 곡지 외상방 1촌에 위치한다. [취혈] 팔꿈치를 구부린 상태에서 곡지 바깥쪽 위 1촌에 취혈한다. [조작] 직자 0.3~0.5촌 뜸을 뜰 수 있다. [적응증] 팔과 팔꿈치의 통증 등
2020.09.05